실내건축재료 중에는 인조석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인조석은 사문암 화강암 대리석과 같은 쇄석을 종석으로 하여 백색포틀랜드 시멘트에 안료와 같은 성분을 넣고 반죽을 하고 바르고 경화한 후 갈고 씻어내고 잔다듬 하여 천연 석재와 비슷하게 만든 것을 의미합니다 인조 석은 천연석재에 유사품을 만들 목적으로 제작된 것으로 현장 시공으로 주로 만들었으나 요즘에는 공장에서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인조석은 천연석재와 같이 단단함과 질감을 가지고 있는데 여러가지 색상과 품목으로 만들어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대부분 판형으로 제작을하여 바닥이나 마감재 치장재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실내 건축에서는 마감재 보다는 치장재로서의 활용도가 높습니다
임종석은 시중에서 마인 스톤이나 매직스톤과 같은 여러 가지 이름이 붙게 되는데 실제 소비자들에게는 이러한 이름들을 마주하게 됩니다 여러가지 형상과 색채 등으로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는데요 인조석은 형상이나 치수 색채가 주문제작에 의해서 결정되니 사용전에 주의해야 합니다
인조석의 종류에는 인조석판도 있습니다 인조석판은 화강암이나 사문암 대리석 등을 쇄석을 사용하여 천연석과 비슷하게 만든 것으로 천연석판의 모조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인조석판을 모조석판이라고 부르는 이유가 바로 이것인데 인조석판을 종석의 종류에 따라 모조석판이나 테라조판으로도 구분하고 있습니다
천연석판의 단점을 보완하고 제작할때 안료를 사용하여 주문에 따른 여러가지 색채를 나타낼 수 있는 장점과 가공의 용이성 및 원가절감등을 고려하여 바닥이나 내외벽등의 수장재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인조석판은 이처럼 활용도가 높아 건축과정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당연히 대리석도 모조 대리석이 있겠죠 인조대리석이라고 해서 대리석과 비슷하게 만들어낸 종석이 있습니다 인조대리석은 대리석의 쇄석을 종속으로 하여 백색포틀랜드 시멘트에 안료 등을 넣고 반죽을 하고 가압을하고 성형을 한 다음 연마를 시켜 대리석과 최대한 비슷하게 만들어 낸 것입니다
천연 대리석을 대체 하기 위해서 만들다보니 모조 대리석이라는 이름이 붙게 된 것이죠 인조대리석은 소재별로 분류를 할 수 있는데 유리계 시멘트계 수지계로 나누어집니다 인조대리석을 만들 때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로 만들었다면 시멘트계라 부르고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고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하면 수지계 인조대리석 시멘트나 수지가 아닌 유리 성분을 소재를 사용하여 만들었다면 유리계 인조대리석이라고 부릅니다
인조대리석은 그러면 주로 어디에 활용되고 있을까요 실내에서는 주로 바닥 마감재로 사용되고 벽의 치장재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자가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재의 조직과 표면가공 (0) | 2020.12.15 |
---|---|
색유리와 강화유리의 특징 (0) | 2020.10.23 |
타일에 용도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0.10.21 |
실내건축재료 모음 (0) | 2020.10.15 |
석재의 일반적 성질 (0) | 2020.10.15 |